"소구경 말뚝을 이용한 선단부(Helix 부착)와 연결부를 특허 받은 Coupler로 결합하며, 풍화토와 풍화암 or 연암 상단(n=50/20)까지 유압식 드라이브로 자 천공(회전+압입), 비배토로 시공하는 저소음 친환경 기초파일 보강공법이다."
압축과 인장하중을 동시에 받는 파일에 적용
개별 헬리컬(D1, D2, D3)이 각각 하중 지지방식
최소 근입깊이(H1) : 헬릭스(D3) 크기 X 3배
각 헬리컬의 간격 : 헬릭스(D1, D2, D3) 크기 X 3배
주면 마찰력은 강관파일을 따라 발생하나 선단 지지력에 비해 작게 발생
굴삭기에 전용오거를 장착, 파일의 회전 및 압입력으로 근입 시공하는 공법
헬리컬 날개에 의한 선단 지지방식
슬라이드 블럭 Key를 포함한 Coupler System(디자인 등록 제30-0781328호)
슬라이드 블럭 Key 적용, 오거로 파일 결합 및 회전근입 동시실행, 연속 시공 가능
연결부간 유격이 없고 수직도 우수, 인장 하중에 강함(시공품질 우수)
접지판, 보강철근 등을 이용 슬래브와 말뚝 강결합(특허 제10-1406217호)
기존 건물 기초보강시 코어작업 홀을 이용 구기초와 파일간 연결 보강 방법
코어작업 -> 파일자 천공 -> 두부절단 -> 보강재 조립 및 설치 -> 그라우팅
구분 | Helix Piles | Micro Piles |
---|---|---|
시공성 |
소형 또는 대형 장비(굴삭기) 단순공정(공기단축효과) 1일 작업 가능 수량 : 200~400m |
소형장비(크롤러 드릴) 공정 복잡(케이싱 작업, 용접 및 양생 등) 1일 작업 가능 수량 : 100~150m |
안정성 |
설계 하중 : 500~1,000KN/ea 선단지지 + 주면 마찰(압축 및 인장) |
설계 하중 : 500~900KN/ea 주면 마찰(압축 및 인장 저항) |
경제성 |
공기 단축 및 파일 소요길이 감소(공사비 절감) |
다공정으로 공기 증가 및 파일 길이 증가(공사비 증가) |
환경성 |
자 천공 방식(비배토 및 슬라임 無 진동, 소음 및 비산 먼지 최소화(민원 발생 우려 無) |
배토 시공(슬라임 발생 별도 처리 필요) 진동, 소음 및 비산 먼지 다량 발생(민원 발생 우려 多) |